건강검진 결과표를 받고 나면 A4용지 몇 장의 숫자들이 우리를 당황하게 만듭니다.
익숙한 단어는 ‘정상’, ‘주의’뿐이고, 수치들의 의미는 모호하죠.
저도 처음엔 숫자보다 색깔만 보고 안심했어요. 그런데 알고 보니, 그 숫자 하나하나가 내 몸이 보내는 세밀한 경고 신호더라고요.
오늘은 건강검진 결과표에서 자주 보는 항목들을 쉽고 정확하게 해석하는 법을 알려드릴게요.
1️⃣ 혈압
- 정상: 수축기 120 미만 / 이완기 80 미만
- 주의: 수축기 120~139 또는 이완기 80~89
- 고혈압: 수축기 140 이상 또는 이완기 90 이상
혈압은 심장과 혈관 건강을 가늠하는 핵심 지표입니다. 과음, 스트레스, 수면 부족도 영향을 미치니 생활습관부터 점검해보세요.
2️⃣ 공복혈당
- 정상: 70~99 mg/dL
- 경계: 100~125 mg/dL
- 위험: 126 이상 = 당뇨 가능성
혈당 수치는 식습관과 직결됩니다. 정제 탄수화물 줄이기, 식사 간격 일정하게 유지하기가 중요합니다.
3️⃣ 콜레스테롤 & 중성지방
- 총콜레스테롤: 200 이하
- LDL(나쁜 콜레스테롤): 130 이하
- HDL(좋은 콜레스테롤): 60 이상
- 중성지방: 150 이하
좋은 지방은 늘리고, 나쁜 지방은 줄이는 게 포인트! 특히 운동 부족이 HDL 감소의 주범입니다.
4️⃣ 간 기능 수치 (AST, ALT)
- 정상: 0~40 IU/L
- 이상치: 음주, 약물, 간염 등 간손상 신호일 수 있음
검진 전날 음주나 피로 누적은 수치를 왜곡할 수 있으니 유의하세요.
5️⃣ 소변 검사
- 단백뇨: 신장 질환 의심
- 당뇨뇨: 혈당 조절 실패 가능성
- 잠혈: 방광염, 요로결석, 드물게 암 의심
의심 수치가 있다면 무시하지 말고 반드시 재검사를 받아보세요.
6️⃣ BMI & 허리둘레
- BMI: 23 이상이면 과체중, 25 이상이면 비만
- 허리둘레: 남 90cm↑ / 여 85cm↑ → 복부비만 가능성
체중보다 중요한 건 허리둘레! 내장지방은 생활습관병의 지름길이 될 수 있어요.
✅ 결과표를 받았다면 이렇게 해보세요
- 주의 이상 항목을 따로 정리
- 한 달간 식단, 수면, 운동 개선 후 재검사
- 불안감보단 “나를 위한 조기 점검”이라고 생각하세요
🧠 마무리하며
건강검진 수치는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, 당신 몸의 정직한 언어입니다.
매년 결과표를 ‘받기만’ 하지 말고, 읽고, 이해하고, 실천하세요.
혹시 검진표에서 어려운 항목이 있다면 댓글로 질문 주세요! 정리해서 따로 포스팅해드릴게요 😊
2025.05.07 - [분류 전체보기] - 건강 검진 항목, 나에게 꼭 맞는 것 어떻게 고를까?
건강 검진 항목, 나에게 꼭 맞는 것 어떻게 고를까?
헷갈리는 건강검진 항목, 연령과 상황별로 딱 정리해드립니다건강검진, 가야 한다는 건 아는데 막상 병원에 가면 "뭘 받아야 하지?" 하고 망설이게 되죠. 검사 항목은 많고 설명은 어렵고… 그래
hohoba79.com